2019-03-06

NPC 2019

National Planning Conference will be held in San Francisco, 13-16, April, 2019.

See APA's announcement at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58&v=FzXKEKNLr2Y


My viewpoints will be:

1. Planning profession - American system
2. How technologies impact on planning - smart cities, planning management, planning practice
3. Fundamental challenges and innovations in planning profession

These focus reflects my interests on:
1. Changing nature of planning and planner
2. Emerging technologies and future cities
3. The future of Korea planning education and practice

2013-09-26

Comprehensive Plan - Comprehensive vs. Spatial

서울시, 사회적경제 일자리 비율 1.6→15%로

'2030 서울플랜' 발표…지역 계획에서 과제 계획으로 변경

기사입력 2013-09-26 오후 5:12:53 프레시안

서울시가 2030년까지 사회적경제 일자리 비율을 현재 1.6%에서 15%까지 끌어 올리고, 국공립어린이집 보육분담률을 11%에서 35%까지 높이는 등 2030년까지 실현코자 하는 목표를 담은 '2030 서울플랜'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2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소통과 배려가 있는 행복한 시민도시"라는 서울의 미래상을 제시하며 2030년까지의 도시기본계획안 '2030 서울플랜(안)'을 설명했다.

이번 도시계획안은 2006년 수립된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상당 부분 수정·변경됐다. 국토계획법상 5년마다 계획을 재정비하도록 돼 있어 2011년 수정된 계획안이 마련됐으나, 공청회와 국토교통부 협의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수정 과정을 거쳤다. 특히 계획안 수립 과정에서 시민 100명이 참여했다.

서울시는 이번 계획안에 대해 "과거 공간계획 중심의 도시기본계획에서 탈피해 시민의 삶과 직결된 5대 핵심이슈 중심의 전략계획으로 내용과 형식이 변화했다"고 특징을 설명했다.

5대 핵심이슈는 △차별없이 더불어 사는 사람중심도시(복지/교육/여성) △일자리와 활력이 넘치는 글로벌 상생도시(산업/일자리) △역사가 살아있는 즐거운 문화도시(역사/문화/환경) △생명이 살아 숨쉬는 안심도시(환경/에너지/안전) △주거가 안정되고 이동이 편한 주민공동체 도시(도시공간/교통/정비)로 나뉜다.

▲ 핵심 이슈별 계획지표. ⓒ서울시


우선 '사람중심도시'와 관련해 서울시는 2013년 현재 2.3개인 노인여가복지시설을 2030년까지 10개로 늘리기로 했고, 지역 공공보건기관도 현재 0.5개 수준에서 1.2개까지 늘리겠다고 했다. 최저소득기준 보장률도 48%에서 2030년에는 100%를 달성하고, 35% 수준인 평생교육 경험률은 70%까지, 국공립어린이집 보육분담률도 11%에서 35%까지 늘리기로 했다.

일자리와 관련된 '글로벌 상생도시' 목표로는 고용률을 현재 65%에서 75%까지 늘린다는 목표 하에, 1.6% 수준인 사회적 경제 일자리 비율을 15%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즐거운 문화도시'를 위해서는 65점 수준인 문화환경 만족도를 90점(100점 만점)까지, 문화기반시설수 2.8개(인구 10만 명 당)를 4.5개로, 외국인 관광객수를 800만 명에서 2000만 명까지 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안심도시'와 관련해서는 현재 4.6%인 공원서비스 소외지역 비율을 0%로 없애고, 신재생에너지 이용률을 2%에서 30%까지 올리겠다고 한다. 재난 인명 피해자 증감률 목표는 -20%이다.

'주민공동체 도시'에 대해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현재 5%에서 2030년 12%까지 늘릴 예정이며, 대중교통 및 자전거 등 녹색교통수단 분담률은 70%에서 80%로 10%포인트 올린다.

서울시는 목표한 과제의 지표를 설정해 2030년까지 목표 달성 여부를 매년 점검해 연차별 보고서를 발간해 공개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 공간구조 구상도. ⓒ서울시


기존의 '1도심-5부도심'의 중심지 체계 공간계획도 '3도심-7광역중심'의 다핵 기능중심 공간계획으로 전면 개편됐다.

기존의 공간계획은 시청 중심의 도심을 1핵으로 두고 용산,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 영등포, 강남의 5개 부도심과 상계, 연신내, 미아, 망우, 신촌, 공덕, 목동, 대림, 사당, 잠실, 천호 등 11개 지역중심의 구조였으나, 2030플랜에서는 시청 중심의 '한양도성'에 강남, 영등포/여의도를 도심에 추가해 3개 핵으로 삼고, 용산, 청량리/왕십리, 창동/상계, 상암/수색, 마곡, 가산/대림, 잠실을 '광역중심'으로 편성했다. '광역중심'은 일자리 창출 및 생활 자족 기반의 거점으로 계획이 짜여진다.

한양도성은 '세계적 역사문화 중심지'로 육성하고, 강남은 '국제업무중심지', 영등포/여의도는 '국제금융중심지'로 기능을 분담할 계획이다. 또한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 등 크게 5개 권역으로 나눠 서울플랜의 후속계획으로 권역별 구상을 구체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5개 권역은 또다시 140개 구역으로 나뉘는데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구체적 계획을 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서울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별 자족기반이 확충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권역별(자치구) 의견 청취, 공청회, 국토교통부 협의, 시의회 의견 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의견 청취 및 시민 공감대 형성 과정을 거쳐 내년 초 도시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박원순 시장은 "도시계획은 한 아이가 성인이 되기까지 삶과 삶터에 대한 희망을 담은 계획인 만큼, 이번 계획에 우리들 삶에 대한 성찰과 미래 서울에 대한 통찰을 충실히 담아내려 노력했다"며 "앞으로 계획안에 대해 보다 광범위한 토론과 논의 과정을 거쳐 2030서울플랜이 위대한 도시로 서울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미래 100년 서울의 튼튼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하영 기자

2013-09-21

On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is unhelpful: we need to think about regeneration

The term sustainability has been stretched to become almost meaningless. It's time to talk about regeneration, writes Herbert Girardet
Posted by                 
Herbert Girardet
Monday 10 June 2013 13.23 BST
Rubber band
The term sustainability has 'become like a rubber band that can be stretched almost at will in many directions'. Photograph: Will Crocker/Getty Images
 
For 25 years,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held up as the solution to the world's problems. But instead we have had ever more pollution, biodiversity loss and climate change.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has been abused like few other terms in history. It is time to think not just about sustaining the world's badly damaged ecosystems and human communities, but about regenerating them instead.
Sustainable development (SD) has been a global orthodoxy ever since it was agreed as a guiding principle for collective human action in the runup to the 1992 Rio Earth Summit. The official definition is well known: "Sustainable development …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 Effectively, it was a marriage of convenience to facilitate north-south collaboration on enhancing human livelihoods while also halting humanity's deteriorating relationship with its host planet.
SD is a concept to which few people would object; most of us would agree that we should not live as if there were no tomorrow. But the term has become like a rubber band that can be stretched almost at will in many directions.
In the past 25 years, only lip-service has been paid to SD, particularly around the use of fossil fuels. During that time, all economic and urban development across the world has been driven by the ever greater use of coal, oil and gas. And yet, the very use of fossil fuels is inherently unsustainable as they are a finite resource, and their combustion is the predominant contributor to climate change.
In any case, how long is sustainable: 10 years, 100 years, 1,000 years? And who and what should be sustainable: households, cities, whole nations, the world economy? And who should benefit: current generations or all humans who will ever be alive? And where is the critique of the current economic system: can SD really occur under the rules of capitalism,where the refusal to put a price on nature's services and on ecological and social externalities is a systemic problem?
In my view, we need to start thinking of regenerative rather than just sustainable development. We urgently need to take specific measures to help regenerate soils, forests and watercourses rather than just allowing them to be sustained in an increasingly degraded condition as we have done for many years. We have the knowledge and the technologies to make renewable energy our main energy sources. And we urgently need to regenerate local communities and economies that have fallen by the wayside as economic globalisation has become a dominant force.
It follows that only a systemic, rather than a vague compromise approach to future development will suffice, starting with the realisation that development cannot be at the expense of the health of the world's ecosystems and that their protection and continuous regeneration must be a guiding principle for human action. It is high time that these realisations were embedded in the teaching of economic theory at universities and business schools all over the world.
An acute state of emergency exists on Earth, imperilling its climate, its life support systems and the lives of billions of people. Could we create a better conceptual framework to assure a plausible future for people and planet?
The concept of regenerative development aims to fill this gap: it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comprehensive rules for an environmentally enhancing, restor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the ecosystems from which we draw resources for our sustenance.
In my own work, I have concentrated primarily on the metabolism of cities, examining urban resource consumption and waste disposal patterns. In an urbanising world, the bulk of human impacts on the biosphere are from urban production and consumption. Cities are the primary location of national economic activities. Modern cities are also defined by their dependence on the use of energy, with the bulk of the world's fossil being burned to power urban systems. Urban energy consumption and global climate change are intimately connected.
Much damage has been done to the world's ecosystems already, and urgent solutions need to be found to reverse it. The time has come for cities to take specific measures to help regenerate soils, forests and watercourses rather than just sustaining them in a degraded condition, and to make renewable energy their main sources of energy supply.
Creating a circular rather than a linear urban metabolism – giving plant nutrients back to nature, storing carbon in soils and forests, reviving urban agriculture, powering human settlements efficiently by renewable energy, reconnecting cities to the regional hinterland – these measures are the basis for creating viable new urban economies which are so badly needed in this time of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Regenerative development is as much about an honest give-and-take between humans and nature as about reviving human communities at the local level. It is a concept that matches closely with the ideas of EF Schumacher, author of Small is Beautiful, in whose name the upcoming Schumacher Lectures are being held.
Herbert Girardet will be speaking at the Schumacher Lectures at City Hall in Bristol on 15 June. The lectures aim to map out steps towards regenerative development.

From The Guardian http://www.theguardian.com/sustainable-business/blog/sustainability-unhelpful-think-regeneration?INTCMP=SRCH

2013-09-16

Apartment Cities of Korea


Picture of prosperity: After decades of growth, South Korea has a skyline to match, with a coast-to-coast line of apartments, such as the Yeouido-dong section of Seoul. | THE WASHINGTON POST

After decades of growth, South Korea is now a land full of apartments

by Chico Harlan
The Washington Post.               



South Korea is a nation covered by apartments, so much so that from above, it resembles a coast-to-coast game of dominoes. Apartment buildings snake around mountains and form jarring clusters in the countryside. In cities, they align in grids that stretch for several kilometers.
Apartment houses first sprouted decades ago as a way to accommodate South Korea’s booming middle class, and they were the picture of a nation in rapid ascent.
But the most remarkable thing about them isn’t the national transformation they heralded, urban design experts say. It is their staying power.
South Korea today is dominated by tech giants, its streets filled with neon lights, coffee shops and barbecue joints. But despite its first-world status, it has not seen a new demand for townhouses, city-center living or artsy warehouse districts. Rather, people still prefer to live in apartments that look nearly unchanged from the boom years — units built by Hyundai or Samsung or Lotte, in buildings from 15 to 30 stories tall.
Although the country’s real estate market has slowed, apartments form the backbone of pre-planned cities under construction, such as Dongtan, where 100 complexes — for 310,000 people — are being built in a loose ring around a golf course. Apartment buildings are also pushing into some of Seoul’s classic neighborhoods. A few mid-size cities have built mega-towers, 60-some stories high.
Some South Koreans say that the apartments have become a symbol of success and that moves into bigger units serve as milestones in their lives. After college: a first apartment. After marriage: a bigger apartment. As children grow: a similar apartment in a better school district. The average Korean moves every five years, a steady vertical migration, and about 60 percent live in apartments, up from 1 percent 40 years ago, according to a recent book, “Apartment,” written by Park Cheol-soo,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Seoul.
Most Korean apartments are rectangular, and very few have balconies. Their biggest windows tend to face toward the south or southeast, allowing in the most sunlight. Most buildings have construction company logos and unit numbers stamped onto the sides. They do not rise from the street with businesses in the bottom floor or two. Rather, they are built in complexes that are strictly residential, with one or two guarded entrances. Only residents or approved visitors may enter. Many of the more modern facilities have playgrounds or fitness centers for residents.
Koreans are not blind to the downside of such a style. The walled complexes close off large plots of land to the public, and the apartments themselves cut the nation into millions of impersonal cells. At one complex in Jamsil, on the outskirts of Seoul, 19,000 people live in a single city block containing 72 high-rises.
“There isn’t much design inspiration. They’re just stacked up,” said Park In-seok, an architecture professor at Myongji University. He described a paradox in which the apartments are mocked for their appearance but coveted for their convenience.
“Almost everybody hates the apartment,” Park said. “But everybody wants to live in one.”
South Korean society emphasizes the family, not the community, and analysts say the apartments reflect that: The individual units look much nicer than the buildings they are in. Particularly in apartments built since the 1990s, the interiors are comfortable, with wooden floors and stainless-steel kitchens. Outside maintenance is taken care of, and families can focus on their own small spaces.
“It is convenient,” said Kim Sung-jin, an employee at Dell who has lived in three different apartment buildings over the past 17 years. “Plus you have a security guard. There’s a parking space for you. There’s a school nearby.”
The apartments, initially, were a means to hold the nation together during its postwar growth. Government officials sometimes said that if people became dissatisfied with their living situations, they would be likelier to protest against the government, at the time controlled by military leaders. The first apartment buildings, Korea’s national housing developer said in the 1960s, would “contribute to the aesthetics of the capital city” and serve as a useful propaganda tool — showing Pyongyang the affluence of the South.
Many of South Korea’s early apartment designers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and were perhaps influenced by the boxy look of standalone suburban homes, some experts say. But they acknowledge that South Korea’s apartments have a distinctly communist feel and resemble the units seen in some parts of Moscow.
South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try to differentiate their apartment buildings — each firm uses its brand name, like the IPark, the Castle — but experts admit there’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An annual contest is held to pick the best apartment complex constructed within the previous calendar year. Ten urban designers and architects tour the country by bus, inspecting applicants’ buildings and interviewing residents.
One judge says that copycatting is rampant and that modest innovations by one developer are soon adopted by another. Fitness centers. Artificial streams. Underground parking. Ahn Kun-hyuck, the lead panelist, said the contest in some years is “very hard to judge.”
If the apartments have a beauty, it’s best viewed from afar — a scale that recognizes their utility and militant geometry. Kim, the Dell employee, is an amateur photographer, and he sometimes darts out of work at dusk and heads to mountain ridges or scenic lookout points. The sky is orange, the massive Han River shimmers, and the apartment buildings catch just the right light.
But Kim said his best photos actually come minutes later, when the sun sets.
With nightscapes, “you only see beautiful lights,” he said. “You don’t see the ugly things.”

Comments from Japan Times
(This article was also publishd in Japan Times)

·         flew over Korea yesterday on my way back to Japan, can only agree, it really is covered in apartment blocks from North to South with less and less forest/nature in between.... wouldn't want to live there...

Im from seattle, I feel the same about tokyo.

Agree with you, on the other hand, tokyos a city, a huge part if Japan is still wilderness, the big problem when I flew over South Korea is that the urban sprawl stretches almost without any wilderness down to Pusan.... I prefer japan, I often hike out into the wild, no one to be met for days if you go to the right parts of the country§ 
I am from Seattle to and live in Tokyo now. I have never been to Korea, but Tokyo is much nicer to live in that what I see in that photo. Even the center of Tokyo has many single family houses, parks, and neighborhood feeling around each station.
Good article. I lived in Seoul and always marveled about these places and why there are so many. I agree with your main conclusion: the design of these places is very economical, but they lack any aesthetics or community feel.
I lived in both Japan and Korea. Korea is a much better place, looks much richer than Japan, particularly the sea side cities like Busan, which is much better than Dubai or Doha today.
Japanese cities have no planning, one big block next to a wooden small house made with cheapest materials. There are lot of poor people in Japan living in those poorly made house and very ugly looking apartments.
In South Korea it is all planned just like it was in the Soviet cities, all rows of apartments, which was very very big, compare with tiny apartments in Japan.
      

Very few people move into their own apartment after college though, tending to stay living with their family until they get married. I spent three years living in Korea and encountered just a handful young people who lived alone in apartments, unlike in Japan. If their family lived in another city they usually stayed in goshiwons (a kind of dorm) or - if their finances allowed - Officetels, which are small, furnished but very high-standard rooms with bathrooms in urban areas.

2013-09-14

New Memories of Seoul

온라인 중앙일보 2013. 9. 15.

나의 살던 고향은 주공아파트 … 상품 아닌 鄕愁의 공간

30~40대 아파트 키드의 실향가



“고향이 어디세요?”

모든 것은 이 질문에서 출발했다.

짠내 나는 바닷바람, 별이 쏟아지는 밤하늘, 흙먼지 날리는 길처럼 서정적인 장면도, 정겨운 풍경도 가져보지 못한 서울내기들에겐 단답 외에 덧붙일 말이 없는 질문이다.

대도시 서울은 고향이란 단어와는 도통 어울리지 않는다. 하물며 아파트는 어떨까.

한국의 아파트를 연구한 프랑스의 지리학자 발레리 줄레조의 책 『아파트 공화국』엔 이런 대목마저 있다.

“한번은 동료 도시계획가에게 서울의 5000분의 1 축척 지번약도를 보여주었더니 ‘한강변의 군사기지 규모는 정말 대단하군’이라고 했다. 바로 반포의 아파트단지였다.”

네모 반듯한 건물이 200동 넘게 줄지어 늘어선 모습이 외국인의 눈에는 군대 막사로 비쳤던 것이다. 군사기지까지는 아니어도 아파트가 갖는 이미지는 우리 눈에도 잿빛이다. 콘크리트로 쌓아 올린 성냥갑 더미.

하지만 이곳에서도 누군가는 태어나고 자란다. 콘크리트로 뒤덮인 주차장에도 소중한 추억이 쌓인다.

올 5월 발간된 독립잡지 『안녕, 둔촌주공아파트』는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아파트 키드’의 고향 예찬이다. “서울도 고향이란 단어와 어울리지 않는데, 그 삭막한 아파트에서 자란 사람들에게 고향이랄 게 있겠느냐”는 사람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따뜻했던 시절을 보낸 곳, 늘 마음속으로 돌아가고픈 고향이 서울의 대단지 아파트”라고 얘기한다.

아파트도 누군가의 소중한 ‘고향’
잡지의 주인공인 둔촌주공아파트는 서울 강동구 둔촌1동에 있는 4개 단지, 5930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다. 59만4000㎡(약 19만 평) 넓이인 동(洞) 전체를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다. 1979년 첫 입주를 시작한 이래 올해로 서른다섯 해. 그동안 수십만 명이 이곳을 삶의 터전으로 삼았고, 지금도 3만 명에 가까운 이들이 살고 있다.

지금이야 단지 앞으로 10차선 대로가 뻗고 옆으로 올림픽공원이 자리 잡았지만, 30년 전만 해도 일대는 아파트만 휑하게 놓인 허허벌판이었다. 이런 곳에 지어진 용적률 87%의 대단지는 ‘콘크리트 성냥갑’이라기보다 울창한 숲 속의 쾌적한 주거단지였다. 단지 뒤편엔 도시에선 보기 드문 습지가 있어 서울시가 생태 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여느 노후한 아파트들과 마찬가지로 이곳도 재건축을 앞두고 있다. 둔촌주공아파트는 올해 초 서울시로부터 재건축 승인을 얻고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수년 내에 평균 용적률 273.9%의 최고 35층, 1만1000여 가구의 초대형 아파트숲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그땐 한국 주택건설사의 중심에서 서민을 상징하던 ‘주공’이란 이름도 사라지고 근사한 브랜드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될 터다.

직장인 이인규(31)씨가 『안녕, 둔촌주공아파트』를 펴낸 건 머지않아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릴 ‘고향’을 기록하기 위해서다.

“모든 것이 사라져 버리고 난 후 마음이 허해서 어딘가 몸과 마음을 누이고 싶을 때, 고향이 그리울 때면 펼쳐볼 수 있도록 둔촌주공아파트에서 보낸 행복했던 유년시절의 추억과 아름다운 지금 이 순간을 엮어 기록들로 남기고 싶었다.”

그는 둔촌주공아파트에서 태어났고 초등·중학교 시절을 보냈다. 다른 곳으로 이사해 살던 그가 이곳으로 돌아온 건 직장인이 되어서다. 2009년 그는 출퇴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둔촌 주공아파트로 잠시 ‘귀향’했다. 마침 치솟던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로 접어들기 직전,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논의가 발 빠르게 진척될 때였다.

“재건축 얘기가 나오면서 아파트 값이 엄청나게 올라있었다. 재건축·철거가 실감 나면서 이번에 떠나면 다시는 돌아올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때마침 향수(鄕愁)가 출판으로 이어진 결정적인 계기가 생겼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자들의 추억을 되찾아주기 위해 구글이 마련한 ‘미래에의 기억(Memories for the future)’ 프로젝트가 그의 눈에 띈 것이다. 지진이 휩쓸고 간 것은 사랑하는 사람들과 삶의 터전만이 아니었다. 폐허 속엔 피해자들의 소중했던 추억까지 묻혀버렸다. 이씨는 “지진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이 찾고 싶어 하는 건 사진 한 장처럼 기억이 담긴 물건이었다”고 말했다. 피해자들을 위해 구글은 지진 이전 피해 지역에서 수집된 스트리트 뷰를 제공했다. 사람들은 사진과 동영상을 공유했다. 피해자들이 아름다웠던 고향 마을을 기억하고 행복했던 추억을 잊지 않도록, 그래서 미래로 나아가는 힘을 지켜갈 수 있도록 보내는 응원이었다.

이씨는 “자연재해는 아니지만 나의 ‘고향’이 영원히 사라지기 전에 같은 공간을 공유했던 사람들과도 추억을 모아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지난겨울을 나면서 만든 잡지 속엔 아파트 공터에서 눈썰매를 타는 아이들, 옛날 아파트에서만 볼 수 있는 연기 피어 오르는 중앙난방 굴뚝, 투박하고 색이 바랜 옛날식 놀이터 등 한 번이라도 둔촌주공아파트에 살았던 사람이라면 가슴 뭉클할 장면들이 담겼다.

예정된 이별 …슬프지만 정성껏 배웅하리라
독립잡지의 성격상 초판으로 500부만 찍은 데다 일반 서점에선 팔지도 않는데 반응이 적지 않다. 추억을 나누기 위해 커다란 단지의 산책로 지도를 보내온 이도 있고, 단지 내에 있는 ‘국민학교’의 성적통지표·시험지 등 깨알 같은 사료(史料)를 보내온 사람도 있다. 이곳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다는 영화감독은 아파트의 마지막을 영상으로 남기겠다고 했다. 그림을 그리겠다는 일러스트레이터도 있다. 둔촌주공아파트 출신들이 모여 만든 인디밴드 ‘얄개들’과도 연락이 닿았다. 이씨보다 먼저 ‘고향’ 풍경을 사진 찍어 음반 커버로 사용해 온 또 다른 ‘아파트 키드’들이다.

“이젠 포털사이트에 검색을 해 봐도 나오는 건 부동산 정보뿐”이라는 이씨의 말처럼 아파트는 시세·거래·투자 같은 부동산 용어로만 수식된다. 하지만 아파트가 사고파는 물건만이 아니라 누군가의 소중한 공간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이씨가 일깨워준 셈이다.

『안녕, 둔촌주공아파트』가 특정한 한 아파트 단지를 다루고는 있지만 비슷한 시기와 지역에 지어진 대단지 아파트 키드들이 공유하는 추억과 감성은 유사한 데가 있다. 실제 이씨에게도 잠실주공·개포주공·반포주공 아파트 등 다른 아파트에 살았던 이들이 “나도 비슷한 추억을 갖고 있다”며 반응을 보내왔다. 대부분이 30·40대, 1970년대부터 80년대 초까지 건설된 아파트의 주차장이 아직은 텅 비었을 때 유년기를 보낸 세대다.

이들 아파트뿐 아니라 1970년대 이뤄진 주택건설의 70%는 2000가구가 넘는 대단지 아파트에 집중됐다. 60년대 서울 인구가 245만 명에서 550만 명으로 두 배 이상 늘면서 정부가 공격적인 주택정책을 세웠기 때문이다. 마포·동부이촌동 등 서울 도심부에 선구적으로 지어지던 아파트가 새로운 땅을 찾아 한강 이남으로 건너왔다.

‘주택건설 180일 작전’, ‘하루에 100가구씩 짓기’라는 구호와 함께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대단지가 눈 깜짝할 새 건설됐다. 2만 가구에 이르는 잠실주공아파트 공사가 28만 명을 투입한 끝에 2년 만에 마무리됐고, 80년대 초반까지 반포주공·잠실주공·잠실시영·둔촌주공·개포주공·가락시영 아파트 등 7만 가구가 넘는 아파트가 정부 주도로 건설됐다. 이때 새로운 주거문화 안으로 들어온 이들은 주로 도심으로 진입할 만큼 여유롭진 않지만, 대학교육을 마친 ‘화이트칼라’의 젊은 부부였다. 그곳이 잠실이든, 반포든, 둔촌동이든 새 주거단지에 지어진 10평~30평형대 중소형 아파트는 미래의 중산층을 키우는 둥지였다. 각기 다른 동네의 대단지 아파트에서 자란 이들이 비슷한 정서를 가졌다며 『안녕, 둔촌 주공아파트』를 반가워하는 이유다.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사업에 공공건축가로 위촉된 한양대 정진석(건축학부) 교수는 “함께 살면서 자연스럽게 소통을 이끌어내는 것이 바로 좋은 건축”이라며 “살던 곳에 애착을 가진 사람들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둔촌주공아파트는 좋은 건축의 한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또 “재건축을 통해 새로운 소통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미 정해진 이별을 피할 수는 없다. 그래서 마지막까지 그 모습을 담는 작업은 아름다운 작별을 위한 의식과도 같다.

이씨는 “사랑하는 할머니의 영정사진을 찍는 것 같은 마음으로 책을 펴냈다”고 말했다. “아름다운 마지막 모습을 예쁘게 잘 담고, 슬프고 아쉽지만 정성껏 배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말이다.

조만간 2호를 발행하는 『안녕, 둔촌 주공아파트』는 아파트가 철거될 때까지 계절마다 만들어질 계획이다.

홍주희 기자
 
 Notes:
1) neighborhood media
2) new memories of Seoul - Seoul-born generations after the 1980s
3) Apartment renewal - urban regeneration class - public architect, design review . . .

2013-05-14

Will People Less Drive?

 
 
NYT reports young people tends to less drive. Some view this trend will continue, while others not so. The report says demographics and economics play out. The report cites the following interesting studies.

o US PIRG's Report on American Driving Trend
o University Michigan Report on Demographic Change and Driving - This reports compares 15 countries worldwide including South Korea.

2012-12-01

Living for Success


"Goshiwon" in Seoul provides the cheap housing for low-income young age group who are searching for governmental jobs. Poor housing conidtion (mostly without private toilet and shower room and sometimes without adquate sunlight) may be a critical issue, yet why they live the way they do raises the fundermental question about the social adquacy of government hiring system. Its provision of egalitarian opportunity should be highly valued, yet the social cost of this approach need to be carefully analyzed. Isn't there any other way that provide low-income, less-educated people can live with well-paying, stable and self-respecting jobs?